티스토리 뷰
목차
📌 온라인으로 확정일자 받는 방법 (쉽고 빠르게 신청하는 꿀팁)
🏠 전세나 월세 계약을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하는데, 동사무소 방문이 어려우신가요?
이제는 온라인으로도 확정일자 발급이 가능합니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안전하게 신청하는 방법,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온라인 확정일자란?
확정일자는 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한 날짜를 법적으로 공증받는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대항력을 갖추게 되며, 주택임대차보호법의 핵심 권리입니다.
온라인 확정일자는 인터넷으로 계약서를 제출하고 수수료를 결제하면 바로 처리되며,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방식입니다.
📂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전 준비물
- 📄 임대차계약서 스캔본 (PDF) – 계약서에 임대인/임차인 정보, 보증금, 월세, 기간 등 필수 기재
- 🔐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금융인증서 – 본인 확인 및 전자서명에 사용
- 💳 수수료 500원 결제 수단 – 계좌이체, 카드 결제 가능
🖥️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절차 (5단계)
1️⃣ 인터넷 등기소 접속 & 회원가입
- 홈페이지 접속 후 회원가입 진행 (전자서명 인증 필요)
- 기존 회원은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2️⃣ 확정일자 신청 메뉴 선택
- 상단 메뉴에서 신청 → 확정일자 "신청서작성/제출" 클릭
3️⃣ 신청서 작성
- "신규작성" 클릭
- 기본정보 입력 – 주소, 신청인 정보 등 (부동산구분(집합건물)을 정확히 확인하여 신청하셔야 합니다.)
- 부동산 등기소재기 확인
- 계약 정보 입력 – 주택유형, 계약일, 금액, 임대기간 등
🌲 부동산확인 클릭 시!
"등기시스템 소재지 확인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온라인 확정일자를 신청합니다."
이 문구가 찝찝하시죠?
내가 이사갈 집의 부동산고유번호 확인방법은 아래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인터넷등기소에서 주소로 부동산고유번호 검색하는 방법 (확정일자 신청 시 부동산등기 소재지
인터넷등기소에서 확정일자 신청을 하다 보면 이런 문구를 마주칠 수 있습니다.“등기시스템 소재지 확인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온라인 확정일자를 신청합니다.” 이럴 때 뭔가 찝찝하죠.
108.samdoli.com
4️⃣ 신청인 작성 및 임대차계약서 첨부
- 신청인 정보 입력은 "임차인 정보"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 스캔한 PDF 파일 업로드 (이미지 파일도 괜찮습니다.)
- 선명하게 촬영된 스마트폰 이미지는 파일 첨부로 제출 가능
5️⃣ 수수료 결제 및 전자서명
- 신청작성내역에서 틀린 부분은 없는지 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수수료 500원 결제 (카드 또는 계좌이체)
- 🔏 공인인증서로 전자서명 후 신청 완료
📄 확정일자 발급 및 확인 방법
- 💬 신청 후 업무시간 내 처리 (보통 수시간 이내)
- 📩 처리 완료 문자 수신 또는 사이트 내 확인
- 🖨 계약서에 확정일자 부여된 문서를 PDF 또는 출력 가능
- 🔁 24시간 이내 재출력 무료 (미리 여러장 여분으로 출력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시 주의사항
- 🕒 업무시간(평일 9시~18시) 외 신청은 다음 영업일 처리
- 📌 반드시 계약서 원본을 기준으로 스캔해야 효력 발생 (핸드폰 스캔 기능으로 촬영 추천드립니다.)
- 📱 모바일 신청은 불가, PC 접속 필수
📌 오프라인 신청이 편할 수도 있어요
온라인이 번거롭거나 전자서명이 어려운 경우, 주민센터, 동사무소, 등기소에 방문하여 직접 신청도 가능합니다.
신청비용은 동일하게 500원이며, 현장 접수 시에는 계약서 원본과 신분증을 지참하면 됩니다.
✅ 확정일자는 무조건 받아야 합니다
확정일자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입니다.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선 계약 즉시 확정일자를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
시간이 없거나 바쁘시다면, 오늘 바로 인터넷등기소에서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을 진행해보세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임차인 보호 수단이 되어줄 것입니다. 😊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스크랩 부탁드려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