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인터넷등기소에서 확정일자 신청을 하다 보면 이런 문구를 마주칠 수 있습니다.
“등기시스템 소재지 확인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온라인 확정일자를 신청합니다.”
이럴 때 뭔가 찝찝하죠.
혹시 주소지가 잘못됐나?
그래서 정확한 부동산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싶을 때,
인터넷등기소에서 주소로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 왜 ‘부동산고유번호’가 중요할까요?
- 📌 확정일자 신청 시 정확한 부동산 식별이 가능해야 효력 발생
- ❌ 잘못된 주소 입력 시, 법적 보호 미흡 가능성 있음
- 📄 임대차 계약서와 등기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 가능
👉 그래서 ‘주소지’로 부동산고유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은 꼭 체크해두는 게 좋습니다!
🖥️ 인터넷등기소에서 부동산고유번호 검색하는 방법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주소로 부동산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지는 예시입니다.
1️⃣ 인터넷등기소 접속
👉 https://www.iros.go.kr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바로 보이는 ‘검색창’ 에서 나의 임대차 주소지를 검색합니다.
※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명칭을 함께 검색하면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아래와 같이 주소지와 동,호수만 입력해보시기 바랍니다.
2️⃣ 고유번호 확인 및 지도로 위치 확인
- 검색한 주소지의 고유번호를 확인합니다.
- 주소지의 지도를 확인하여 나의 임대차 주소지와 동일한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확정일자 신청 시 부동산고유번호 입력
- 확정일자 신청에서 주택 소재지 ‘도로명주소’ 또는 ‘지번 주소’를 입력
- 나의 임대차계약 주소지의 "부동산고유번호" 입력
- 나의 임대차계약 주소지와 동일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
4️⃣ 부동산고유번호 확인
- 주소 선택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부동산고유번호가 노출됩니다
- 이 번호를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시 입력하거나 참고 가능
💡 TIP! 확정일자 신청 화면에서 "소재지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와도, 위 과정으로 부동산고유번호를 확인 후 안심하고 신청할 수 있어요!
📸 주소 검색이 안 될 때 이렇게 해보세요
- 📍 도로명 주소 말고 지번 주소로도 시도
- 🏠 건물이 오래된 경우, 건축물대장 기준 주소 확인
- 📞 계속 안 될 경우 등기소에 전화 문의 또는 고객센터 이용
✅ 마무리 체크리스트
- ✅ 확정일자 신청 전, 주소가 등기시스템에서 인식되는지 확인!
- ✅ 부동산고유번호를 확인해 계약 주소와 일치 여부 점검
- ✅ 의심스러운 경우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에서 직접 신청 추천
📌 확정일자는 내 보증금을 지켜주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주소 확인과 고유번호 체크까지 꼼꼼하게 챙겨보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스크랩 & 댓글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