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다양한 정부 복지 정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 계산법, 혜택,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 중위소득의 개념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체 가구 중 절반은 이보다 낮고, 나머지 절반은 높습니다. 중위소득은 복지 정책 및 지원 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25년 기준 중위소득, 제대로 알고 가세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공식적인 중위소득 기준!"
    생계급여 & 의료급여의 기준도 같이 확인하세요.

    📋보건복지부 중위소득 기준 확인하기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4년 대비 6.42%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맞춤형 급여체계 전환 이후 역대 최고 증가율로, 빈곤층의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각 가구원 수에 따른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2024년 2,228,445원 → 2025년 2,392,013원 (7.34% 증가)

     

    - 2인 가구: 2024년 3,682,609원 → 2025년 3,932,658원

     

    - 3인 가구: 2024년 4,714,657원 → 2025년 5,025,353원

     

    - 4인 가구: 2024년 5,729,913원 → 2025년 6,097,773원 (6.42% 증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3. 중위소득 계산법

     

    중위소득은 통계청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발표되며, 직접 계산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구 소득 인정액 계산: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하여 가구 소득 인정액을 계산합니다.
    • 소득평가액: 실제 소득에서 가구 특성별 지출비용과 근로소득공제 등을 차감한 금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재산가액에서 기본재산액과 부채를 차감한 후 소득환산율을 곱한 금액.

    2. 건강보험료로 확인: 건강보험료는 가구 소득 기준과 재산을 반영해 결정되므로, 건강보험료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구 소득의 수준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 중위소득의 혜택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차상위계층 지원, 한부모 가족 지원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의 소득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각 급여별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중위소득 혜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내게 해당하는 혜택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선정 기준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 중위소득 혜택 자격 확인하기

    2025년 기준 중위소득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4인 가구 기준으로 급여별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 생계급여: 765,444원

    - 의료급여: 956,805원

    - 주거급여: 1,148,166원

    - 교육급여: 1,196,007원

     

    - 2인 가구

    - 생계급여: 1,258,451원

    - 의료급여: 1,573,063원

    - 주거급여: 1,887,676원

    - 교육급여: 1,966,329원

     

    - 3인 가구

    - 생계급여: 1,608,113원

    - 의료급여: 2,010,141원

    - 주거급여: 2,412,169원

    - 교육급여: 2,512,677원

     

    - 4인 가구

    - 생계급여: 1,951,287원

    - 의료급여: 2,439,109원

    - 주거급여: 2,926,931원

    - 교육급여: 3,048,887원

     

    5. 중위소득 활용

     

    중위소득은 정부 74개 사업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다양한 급여의 기준이 됩니다. 또한, 중위소득 인상은 빈곤층의 생활 수준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정부 복지 정책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중위소득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개인이나 가구가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정보를 통해 여러분도 복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시길 바랍니다.